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뇌졸중 진단 검사, 치료 방법, 예방법 알아보기

by 건강한시간 2023. 8. 19.

누구나 건강한 노후를 꿈꾸기에 뇌졸중은 나이가 들면서 가장 조심해야 하는 질병 중 하나로 꼽힙니다.   

지난 글에서 뇌졸중의 발생 원인과 전조증상, 초기증상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뇌졸중 발생 원인, 위험 인자, 전조 증상 미리 알아두세요

 

이번 글에서는 전편에 이어서 뇌졸중 진단 검사와 치료 방법,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졸중 진단검사, 치료방법, 예방법
뇌졸중 진단검사, 치료방법, 예방법

 

뇌졸중의 진단 검사

뇌졸중은 갑작스러운 반신 마비나 언어 장애 등의 증상을 보고 의심해 볼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검사 : 뇌 CT 사진이나 MRI 검사를 통해 병변이 발생한 원인과 위치, 정도를 검사합니다. 
  • 뇌혈관 또는 혈류 검사 : 뇌의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RA), 뇌혈관 조영술, 경동맥 초음파, 경두개 초음파, 핵의학 검사 등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의 치료 방법

뇌졸중 치료는 빨리 시행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뇌에 혈액 공급이 안 되면 몇 분만에도 손상을 입을 수 있고, 뇌 세포는 한 번 죽으면 다시 살릴 수가 없기에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졸중 증상으로 병원에 방문하면 발병 원인에 따라 약물 치료와 수술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약물 치료 

약물로 혈전을 녹이는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뇌경색의 경우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방문하면 혈전 용해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뇌출혈인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 

신체에 마비 증상이 없고 심한 두통과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뇌지주막하출혈의 경우라면 뇌혈관 조영술을 통해 출혈 부위를 찾아 수술을 진행합니다. 

 

예방 치료

뇌졸중은 또 재발할 수 있기에 한 번 증상이 나타나면 재발을 막기 위한 예방 치료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뇌경색이 경우 혈전예방제를 복용합니다. 

동맥경화로 인해 뇌로 들어가는 혈관이 좁아졌다면 수술이나 풍선을 이용해 혈관 확장술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예방법

뇌졸중은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합니다. 뇌졸중을 예방하는 방법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키는 것이라 뻔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알면서도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건강한 생활 습관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뇌졸중 예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뇌졸중 위험인자를 조절하도록 평소애 노력합니다. 
  • 음주와 흡연을 삼갑니다. 
  •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는 식습관을 갖도록 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합니다.  
  • 규칙적인 운동을 합니다. 하루 30분 이상, 일주일에는 3~4회 이상의 운동을 합니다.

무엇보다 뇌졸중의 증상에 대해 평소에 알아두고, 뇌졸중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신속히 병원에 가서 진료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졸중 발생 원인, 위험 인자, 전조 증상까지 미리 알아두세요

뇌졸중에 대한 두려움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지기 마련인데요. 뇌졸중은 증상이 나타났을 때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면 언어 장애, 반신 마비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고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를

ddubeok.com